top of page
Biomimicry Memory Game
짠물에서 민물로
짠 물에서 살아가는 맹그로브 뿌리의 구조는 해수 담수화 기술의 아이디어가 되었습니다
염분이 없는 깨끗한 물
염도가 있는 곳에서 살아가는 맹그로브 나무
인류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해서 물 부족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한 뒤 이를 담수로 만드는 '해수담수화 기술'이 좋은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
하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었는데요,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수담수화 기술인 '증발방식'이나 '역삼투방식' 모두가 에너지 소비량이 너무 많다는 점 입니다. 담수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에너지 비용이 너무 커 상용화가 어려웠습니다.
해안에서 자라는 염생식물(halophyte)인 맹그로브(mangrove)뿌리의 메커니즘을 모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염생식물이란 바닷가 주변에서 서식하는 식물을 가리킵니다. 일반적으로 식물은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염분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살 수 없지만 , 염생식물은 뛰어난 여과능력 덕분에 염분이 많은 환경에도 살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나트륨 이온을 필터링 할 수 있는 맹그로브 뿌리의 막 구조를 모방하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담수화 설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bottom of page